The next smartphone is a humanoid robot, Tesla Optimus 2

Tesla Optimus 2nd Generation Humanoid Robot Professor Han Jae-kwon, Department of Robotics at Hanyang University


The next smartphone is a humanoid robot. The second generation version of Tesla Optimus has been released. I can handle such small forces well. I'm sure I'm good at everything, not just hardware but software. So why does Tesla want to keep upgrading Optimus by investing so much? It's about mass production. That's very important.



The identity of Tesla's Humanoid Robot


The second generation version of Tesla Optimus has been released. When I first watched the video, I realized that it was developing very quickly. When the first generation came out, you would have felt that there were a lot of robots like that, but when you look at the second generation, you would have felt that it was sophisticated. First of all, you get an aura you feel from the outside. Because it's well covered. It feels like a finished product, and it's got a lot of plastic coverings on it. So it kind of feels like it's ready, but with that, the movement has become quite soft. It's not the kind of hard movement that we've seen before, it's softened, and it's a great demonstration of the ability to control the power that's essentially in the robot. And what's more important is that it's developing at an incredibly fast pace.



Why Tesla Is Great


What many people misunderstand about moving robot joints is that if you are strong, you will have very good abilities. Humans do that. When humans do something strong, they think that person is amazing. But moving with strong force may not be difficult for robots. When the motor is large, the force grows. But what is more important for robots is the weak force. How to handle weak force well is more difficult when it comes to control. That's why you have to feel the foot power well in order to handle weak force well. When we grab something, we feel the foot power. And while controlling our own power, we move slightly. Those fine movements..


It's actually harder in the control zone, but you pick up the egg. This means you have to be able to control the small force while feeling the small force. It's a common sense. I can handle small force like this, and I do squats and do yoga with one leg and raise one leg in order to show that I can balance not only small force but also big force. But if you look closely, doesn't it move fast? It moves slowly. I have the ability to move this big force slowly and have a sense of balance there. These technologies show a fairly high level of technology through movements.



Combination of the strongest hardwa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eople who know robot control can see it and feel wow. The video shows that Tesla's Optimus robot is also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ell. For example, you've seen the scene where you look at your hand like this. And the hand is colored like this. This is calibration. Sensors recognize their own hands and recognize that this part is their own hands. All of them improve precision through a process called calibration, but they need to know the location of their hands well. The more you know exactly where your hand is, the more precise you can control it. The calibration process was often done manually by designers and makers. Optimus showed me a little bit that I can do calibration on my own. These things have to be made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So I keep showing videos show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Tesla Optimus 3rd Generation


How will the 3rd generation of octimus look like? I'm looking forward to it, I'm afraid, and I have a sense of competition as the same researcher that I don't want it to come out too soon, but I think I know the direction. When the 3rd generation comes out, walking performance and mobility performance are very similar to humans. To give you an example of walking performance and mobility, if you see the toes and octimus walking right now, they don't walk with their knees straight yet. But it's too hard for humans to walk in a scruffy skirt position like this. Robots are doing that right now. But they're going to try to show that kind of human walking. To do that, you have to make good toes..


So I think I can show you walking performance based on such detailed technology. And movement is important, but you actually have to work. What Tesla is aiming for is work. That's why you'll think more about what you're going to do. So how much better you're going to make your hands and what kind of work you're going to do based on that well-made hand is very important, and I think this is the point where we're going to be able to do that kind of research quickly.


How much capital was invested to develop the second generation of Optimus? I can imagine a lot at the most. Then, can you invest that capital and make a profit this year? I'm not sure. I don't know how to make a profit from that second generation robot. I really don't see a YouTube subscription. But he continues to show his willingness to invest. I don't think he's thinking that this capital will be recovered quickly. That means I'll reach my advanced future first. Then isn't it saying that I'll dominate the market that unfolds after that, and then I'll go quickly and dominate it? In other words, in order to see far away, invest a lot in a short time, and go that much faster. I think the philosophy of such investment is very different.


테슬라 옵티머스 2세대 버전 휴머노이드 로봇, 한양대 로봇공학과 한재권 교수


스마트폰 다음은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테슬라 옵티머스 2세대 버전이 공개가 됐죠. 나 이렇게 작은 힘도 잘 다룰 수 있어.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까지 나 다 잘할 거야. 그런데 왜 테슬라가 그렇게 많은 투자를 하면서 옵티머스를 계속 고도화시키려고 하고 있느냐.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 그게 굉장히 중요한 거죠.



테슬라가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의 정체


테슬라 옵티머스 2세대 버전이 공개가 됐죠. 처음 동영상 봤을 때 굉장히 빨리 발전하는구나 라는 느낌이 확 들죠. 처음에 1세대 나왔을 때는 저 정도 로봇들은 많이 있지 않았나 라는 느낌을 받으셨을 텐데 2세대 로봇을 보면 세련되었다 라는 느낌을 받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외형에서 느끼는 아우라 같은 게 생기죠. 왜 그러냐면 일단 커버링을 잘 했습니다. 완제품 같은 느낌으로 플라스틱 커버들이 쫙 입혀졌죠. 그러니까 뭔가 갖춰졌다 라는 느낌이 나는데 거기에 더불어서 움직임들이 상당히 부드러워졌어요. 예전에 봤던 그런 딱딱한 움직임이 아니고 부드러워졌고 그리고 로봇에 있어서 핵심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힘을 제어하는 능력 이것들을 굉장히 잘 보여줬습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발전하는 속도가 엄청나게 빠르다.



테슬라가 대단한 이유


로봇 관절 움직이는 거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약간 오해를 하고 계신 게 뭐냐면 힘이 세면 굉장히 능력이 좋은 거 아닌가 라는 생각들을 많이 하세요. 인간은 그렇죠. 인간은 뭔가 힘 센 거를 막 할 때 야 저 사람 대단하다 라는 생각을 하게 돼요. 그런데 힘을 세게 해서 움직이는 것은 사실은 로봇에게 있어서는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있어요. 모터가 용량이 크면 힘이 커지거든요. 그런데 로봇에게 있어서 더 중요한 것은 오히려 약한 힘이에요. 약한 힘을 어떻게 잘 다루느냐 이게 제어에 있어서는 더 어렵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약한 힘을 잘 다루기 위해서는 발력을 잘 느껴야 돼요. 우리가 뭔가 물건을 잡으면 거기에 대해서 발력을 느끼거든요. 그러면서 자기 힘을 조절하면서 살짝 움직여요. 그런 미세한 움직임..


그게 사실은 제어 영역에서는 더 힘든 부분인데 계란을 집는다. 이거는 굉장히 작은 힘을 느끼면서 작은 힘을 조절할 수 있어야 된다라는 얘기잖아요. 그걸 상식적으로 보여주는 거예요. 나 이렇게 작은 힘도 잘 다룰 수 있어 라고 그러면서 작은 힘뿐만 아니라 난 균형도 잘 잡고 큰 힘도 잘 내 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스쿼트도 하고 요가 자세로 한 다리로 짚고 한 다리 들고 이런 것도 보여주죠. 그런데 자세히 보면은 빨리빨리 움직이지 않아요? 서서히 움직입니다. 나 이렇게 큰 힘을 천천히 움직일 수 있는 능력도 있고 거기에 균형감까지 갖출 수 있어 라고 하는 것. 이런 것들 기술적으로는 상당히 높은 기술의 수준들을 동작으로서 보여주고 있는 거죠.



최강 하드웨어와 인공지능의 만남


그러다 보니까 로봇 제어를 좀 아시는 분들은 딱 보고 우와 라는 느낌을 확 받아요. 테슬라의 옵티머스 로봇도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고 있다라는 것을 비디오를 통해서 계속 보여주고 있어요. 예를 들자면 이 손을 이렇게 보는 장면들을 보셨을 거예요. 그러면서 손이 이렇게 색칠이 쫙 되고 그런 장면이 싹 스쳐가거든요. 이거는 뭐냐면 자기 손을 스스로 인식하고 아 요기 부분이 내 손이구나 를 스스로 인식하고 캘리브레이션이라는 게 있습니다. 센서들은 다 캘리브레이션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정밀도를 더 향상을 시키는데 그 자기 손의 위치를 자기가 잘 알아야 돼요. 나 손이 어디 어디에 있구나 정확하게 알면 알수록 더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거든요. 캘리브레이션 과정은 설계자라던가 만든 사람들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주는 경우가 많았어요. 그런데 옵티머스는 나 캘리브레이션 내가 스스로 해 라고 하는 것을 살짝 보여준 거죠. 이런 것들은 인공지능을 통해서 만들어질 수밖에 없는 것들이에요. 그래서 인공지능 기술들을 보여주는 비디오들을 계속 보여주고 있습니다.



테슬라 옵티머스 3세대


옥티머스 3세대가 어떻게 나올까요? 저도 기대도 되고 두렵기도 하고 너무 빨리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다라는 같은 연구자로서의 약간의 경쟁 의식도 있고 그렇지만 방향성은 알 것 같아요. 3세대가 나오면 일단은 보행성능 그리고 또 이동성능 이것이 굉장히 인간과 비슷한 예를 들자면 발가락 그리고 옥티머스가 지금 걷고 있는 모습을 보면 아직까지는 무릎을 펴고 걷진 않아요. 그런데 인간들은 이렇게 꾸부정하게 스커트 자세로 걷기는 너무 힘들어요. 로봇은 그 힘든 걸 지금 하고 있는 거고요. 그런데 그런 인간형 보행을 보여주려고 노력을 할 겁니다. 그러려면 발가락을 잘 만들어야 돼요..


그래서 그런 디테일한 기술을 바탕으로 보행성능을 보여줄 수 있을 것 같고요. 그리고 이동도 중요하지만 사실은 일을 해야 돼요. 테슬라가 목표하는 것은 작업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어떤 작업을 할 것인가를 더 많이 생각할 겁니다. 그래서 손 손을 얼마나 더 잘 만들 것이냐 그리고 그 잘 만든 손을 바탕으로 어떠한 작업을 할 것이냐가 굉장히 중요한데 그런 작업 연구를 얼마나 빨리 해낼 수 있을 것인가 여기가 관전 포인트가 될 거라고 봅니다.


옵티머스 2세대를 개발하기 위해서 투입된 자본이 얼마였을까요 줄잡아도 굉장히 많을 거로 상상이 돼요. 그러면은 그 자본을 투자해서 올해 수익을 낼 수 있는가 아니죠. 그 2세대 로봇으로 수익 낼 수 있는 방법은 아마 글쎄요. 유튜브 구독 정도 정말 안 보여요. 하지만 계속 그러한 계속 투자하겠다라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고요. 이 자본금이 빠르게 회수될 거라는 생각을 하고 있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요. 그렇다는 얘기는 저 앞선 미래를 먼저 도달하겠다. 그리고 나서 그 뒤에 펼쳐지는 시장을 내가 석권하겠다, 빠르게 가서 석권하겠다라는 게 아닐까요? 즉 멀리 보고 투자하고 그만큼 빨리 가기 위해서 단시간에 많이 투자하고. 이런 투자에 대한 철학이 굉장히 많이 다른 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Previous Post Next Post

POST ADS 2